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-C 개요 및 추진사항

부동산 연구/철도 분석

by 열정대디 2020. 3. 25. 22:37

본문

안녕하세요

미래철도DB 라는 곳에 철도관련 자료들이 굉장히 많이 있네요

GTX-C 관련 정리된 자료 입니다

 

출처(미래철도DB) : http://frdb2.wo.to

▶노선안내

노선이름

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선 (경기도 대심도 급행전철, GTX(Great Train Express))

사업상황

  계획

사업성격

  신설

영업기관

  민자사업자

건설기관

  민자사업자

사업구간(역)

  • C선  (총 10개역)
    • 덕정-의정부(기존선으로 운행, 도봉산 북부에서 경원선(1호선)으로 진입)
    • 의정부(1호선)~창동(1, 4호선)~광운대(1호선)~청량리(1호선, 경의중앙선, 서울경전철 강북횡단선, 면목선)~삼성(2호선, 위례신사선, GTX-A선)~양재(3호선, 신분당선)~과천(4호선)~금정(1,4호선)
    • 금정-수원(기존선으로 운행, 과천 남부에서 과천선(4호선)으로 진입, 금정에서 1호선으로 건너가서 수원까지 운행)
    • 차량기지: 양주시 마천동

노선연장

74.2km (경기 44.1km, 서울 30.1km)

  • 대심도 지하 신선: 도봉산-인덕원 42.3km
  • 기존선 운행: 경원선 덕정-도봉산 17.7km, 과천선 인덕원-금정 6.1km, 경부선 금정-수원 14.0km

노선규격

전기

  AC 25000V

신호

  ATP

배선

  복선

차량

설계최고속도 200km/h, 영업최고속도 180km/h
표정속도 100km/h
수원-삼성 22분, 의정부-삼성 16분, 덕정-삼성 23분
수원발 의정부행, 덕정행 교대로 운행

개통시기

-

관련노선

   GTX-A선, GTX-B선, 강북횡단선, 면목선, 위례-신사선

참고사항

 

 

▶사업상황

2007.6 동탄 2지구 신도시 개발계획 발표

2007.7

경기남부 광역교통망 구상 연구착수, 동탄-강남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타당성 검토

  2007.11.29

  대한교통학회 '꽉 막힌 수도권 교통, 해결방안은 없는가?’ 토론회에서 '수도권 고속직행철도 구축방안' 발표

  • 초기제안
    • 대곡(3,경의선)-불광(3,6)-종각(1)-삼성(2)-모란(8,분당선)-죽전(분당선)-동탄
    • 부평(1,인천1)-영등포(1)-삼성(2)-구리(중앙선) & 금정(1,4)
    • 영등포(1)-종각(1)-창동(1,4)-의정부(1)
    • 총 14개역, 차량기지 3(대곡, 구리, 의정부)
  • 향후 연장 구상
    • 부평-송도: 11.5km
    • 대곡-파주: 20.5km
    • 의정부-포천: 22.0km
    • 금정-송산: 21.0km
    • 금정-수원: 12.7km
    • 동탄-평택: 18.0km

2008.4

  경기도 > 국토해양부와 공동으로 대심도(大深度) 고속급행철도 건설 타당성 용역 실시

2008.6 

대한교통학회, 한국철도학회: " 수도권 급행철도 구축방안 정책토론회"  

2008.12 국토해양부 2009년 업무계획에 대심도 급행철도 반영

2009.2.2

경기도, 경기도시공사 > `대심도 고속급행전철 전망 및 추진방안` 토론회

2009.4.14

경기도 > 'GTX, 수도권 교통혁명 - 선포식 및 특별기자회견‘: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경제성 및 기술성 검토용역결과 발표
  • A선: 일산 킨텍스~동탄
  • B선: 청량리~인천 송도
  • C선: 의정부~금정

2009.4.

  • 삼성중공업 컨소시엄 > 수도권고속직행철도 사업 중 B구간(청량리~송도)을 국토해양부에 제안
    • 청량리-송도 47.82km 9개역
  •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 > 수도권고속직행철도 사업(4개 노선 동시 추진, 총 27개역)을 국토해양부에 제안
    • 킨텍스-수서(동탄) : 48.1km (76.7km)
    • 회룡-금정 : 46.5km
    • 광명-청량리: 30.4km
    • 부평-삼성: 34.5km

2009.6

국토해양부 > 수도권 대심도 광역급행철도에 대해 최적 실행대안 마련 등을 위한 구체적인 타당성조사 연구 착수 (한국교통연구원)

2010. 4. 12

수도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 (인천, 경기, 서울 3개 지자체)   > 서울 인천 경기 광역경제권 발전을 위한 협약 18개 공동 우선추진과제중 광역인프라 부문에 포함

2010.9

  대심도 광역급행철도 타당성 조사 결과 (한국교통연구원)   B/C=1.17

2011.1

국토해양부 > 국가기간교통망계획 2차 수정계획에 포함

2011.4.3

국토해양부 >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(2011~2020)에 기 시행중인 사업으로 포함

2011.9. 8

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(50여개사  그랜드  컨소시엄) > GTX 사업 제안서 국토부에 제출
총 4개 노선
일산~수서(동탄), 송내~청량리,  의정부~금정, 오류동~삼성

->   국토부 >   이 사업을 ‘정부고시사업’으로 추진하겠다며 반려

2011.11

기획재정부 > 2011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

2011.12

기획재정부 > 예비타당성조사 착수

2011.12.30

국토해양부 >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에서 광역철도로 신규 지정

2013.1.22

한국철도협회 > 국민행복 민생복지를 위한 광역 급행철도 정책 세미나

  • GTX 노선변경 제안
    • GTX-A선에서 C선으로 진입하여 의정부 방면 노선확보 신설 및 KTX 운행
    • GTX-A선의 공항철도 연계
    • GTX-C선을 당아래에서 서울 강남을 거쳐 잠실로 가는 노선으로 변경
2013.2 박근혜정부 인수위원회 140대 국정과제 GTX 반영
2013.7.24

서울시 > '서울시 도시철도 종합발전방안'(서울시 도시철도 기본계획 보완)에
GTX 노선변경 제안이 정부 건의 사항으로 포함 (남부급행철도, KTX 동북부 연장)

2013.7 박근혜정부 지방공약 이행계획 반영
2014.2.28

국토교통부 > “수도권 광역급행철도”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가 통보됨에 따라「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」에 반영된 3개 노선을 모두 추진해 나가되,

  • 경제적 타당성이 확보된 A노선(일산~삼성)은 즉시 추진
  • B노선(송도~청량리)과 C노선(의정부~금정)은 재기획 및 보완 과정을 거쳐 조속히 재추진키로 함

(예비타당성조사 B/C값) A노선· B노선· C노선 동시 추진시 0.84
A노선 1.33(AHP=0.595), B노선 0.33, C노선 0.66

2014.6.30

수도권광역급행철도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, 태조엔지니어링 컨소시엄(태조엔지니어링+KRTC+서영엔지니어링+신성엔지니어링+동일기술공사)이 수주

  • A노선 킨텍스~삼성간(36.4km)의 타당성조사, 기본계획수립 및 민자적격성검토
  • 송도~청량리간 B노선(48.7㎞)과 의정부~금정간 C노선(45.8㎞) 사업계획을 보완, 재기획 (~2015.12)
    • GTX-B선 마석 연장 반영
    • GTX-C선: 의정부-도봉산, 과천-금정 기존선 공용하여 비용 절감 
2015.4.9 GTX 차량기지 공용 용역 준공 (파주시-> (사)대중교통포럼)

2015.11 

국토교통부-> 기획재정부  :  " 의정부~금정 광역급행철도(KTX 의정부 연장포함)"  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

  • 기본적으로 GTX C선이지만 (47.85km)  
    • 재기획 내용 반영: 순수 지하 신선에서 기존선 일부 이용으로 수정 (의정부역~도봉산역(5.4km), 과천역~금정역(6.1km))
    • 수도권고속철도를 타고 올라온 고속철도열차(KTX)가 SRT수서역 전에서 분기하여 삼성동탄광역급행철도(GTX A선)에 진입하여 삼성역까지 간 후, 다시 본 GTX-C선에 진입하여 의정부까지 운행 (KTX의정부 운행 공약을 위해서임)
    • 역: 의정부-창동-광운대-청량리-삼성-양재-과천-금정 

2016.2.8

[GTX-C선] 예비타당성조사 시작 (의정부-도봉산(5.4km), 인덕원-금정(6.1km) 기존선 활용안)

2016.2

국토교통부 >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공청회(교통연구원 주최)에 포함

2016.6

국토교통부 >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

  • 송도-청량리 48.7km
  • 의정부-금정 45.8km
  • 킨텍스-파주 연장 구간은 민자 추진을 위한 타당성조사(2015.11~) 결과에 따라 추진
2016.12

국토교통부 > 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에 포함

  • 킨텍스(파주)-삼성 36.4(43.1)km
  • 송도-청량리 48.7km
  • 의정부-금정 47.9km
  • 남부광역급행철도 (당아래(부천종합운동장)-잠실) 30.4km 

2017.11

국토부 -> 기재부 > 사업계획 변경(안) 제출

  • 덕정-의정부(17.7km), 금정-수원(20.1km) 기존선 이용 연장
2017.12

예비타당성조사 분석 재착수 

2018.12.11 예비타당성조사  결과  발표 > 통과 B/C=1.36, AHP=0.616

2018.12.19

국토교통부 > 2차 수도권 주택공급 계획(3기 신도시 계획) 및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방안에 포함

2019.5

기획재정부 > 민자적격성 조사 통과  

기본운임 1050원에 별도운임 650원, 추가운임 5km 당 350원 기준
유용성(VfM·Value for Money) 36.41%, 사업수익률 4.90% (목표수익률 3.86%)
민간투자 대안을 택할 경우 정부실행대안보다 더 큰 서비스 질 향상 효과와 기술혁신 효과, 산업파급 효과가 기대됨

2019.6.19 기본계획 수립 착수 (태조엔지니어링, 도화, KRTC, 삼안)
2019.10.31 대도시권광역교통위윈회 > 광역교통비전 2030 에 포함
2019.11 안양시 > GTX-C선 인덕원역 정차를 위한 사전타당성조사 용역 착수
2020.2.27

경기도, 화성시, 평택시, 오산시 > GTX-C노선 화성, 오산, 평택 연장을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 체결

  • 수원에서 종착하는 GTX-C 열차를 경부선을 따라 연장 운행 건의
  • 정차역: 병점, 오산, 지제
  • 길이: 29.8km
  • 지제역에 반복선(1.7km) 신설, 차량 추가 구입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